블로그나 사이트를 운영할 경우 검색엔진에 등록하기 위해 사이트맵은 필수적입니다.
사이트맵을 만드는 방법은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온라인 사이트들이 대표적인데요. 온라인 사이트의 가장 큰 단점은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린다는 점입니다. 사이트가 조금만 커져도 1~2시간은 기본으로 필요하거든요. 심지어 하다가 다운 먹는 경우도 발생... 화가 납니다.
저처럼 참을성이 부족한 사람들에게 딱 좋은 사이트맵 만드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바로 설치형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인데요. 설치형 프로그램을 이용하다보니 사이트맵 만드는 시간이 매우!! 아주!! 환상적으로 빠릅니다.(온라인과 비교해서요.)
바로 말하자면 프로그램 이름은 G-mapper입니다. 도네이션을 받아서 운영되는 무료프로그램입니다. 이거 유료아니야? 라는 걱정은 No~No~
설치 파일을 받아서 설치하시고 실행을 합니다.
지금부터는 빠르게 빠르게 설명하겠습니다.
1. 프로그램 실행 후 New 클릭
처음으로 사이트맵을 만들때 New를 사용합니다. 이미 g-mapper로 사이트맵을 만들어 사용 중 업데이트하고 싶은 경우에는 open을 눌러 저장되어 있는 사이트맵을 열어서 바뀐 부분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2. 기본세팅하기
화면에 보이는 것처럼 내용을 입력하면 됩니다.
Website title은 자신이 원하는 이름으로 하시면 됩니다. 크게 상관없음.
Website address는 자신이 등록하고 싶은 사이트 주소입니다. 반드시 정확하게 입력해야 합니다.
Modified date는 건드릴 필요없음.
Change frequency는 None이 아니도록 변경. None만 아니면 됩니다.
Priority도 None으로 되어 있으면 변경. 저는 1.0을 사용합니다.
Change frequency와 Priority가 None으로 되어있으면 나중에 사이트맵 등록시 오류가 납니다.
내용 입력 후 우측 하단 Ok버튼 클릭.
3. 사이트 페이지 불러오기
사이트 주소가 등록되면 프로그램 상단에 G-Mapper 옆에 자신의 주소가 나옵니다.
그 후 Spider를 클릭합니다. 설정한 주소에서 페이지를 확인하며 불러오는 단계입니다.
Spider가 나오면 오른쪽 아래 Spider버튼을 누릅니다. 시간이 지나면 화면에 페이지들이 불러오고 마지막에 Saving complete가 나옵니다.
Saving complete를 확인한 후 우측 상단의 X자를 클릭합니다.
다 끝났는데 Spider를 누르시면 처음부터 다시 불러옵니다.
4. 사이트맵 생성
위의 단계가 끝나고 나면 화면에 아래와 같이 페이지들이 들어온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Export를 누르고 원하는 장소에 저장하면 됩니다.
5. 사이트맵이 완성
아래 사진처럼 여러개의 파일이 생성되는 데 그 중에서 빨간 네모 박스 안에 있는 파일이 사이트에 등록해야하는 사이트맵 파일입니다. 잘 확인하세요.
6. 사이트맵 등록
티스토리의 경우 다음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다음에는 별도로 등록이 필요하지 않지만, 네이버와 구글에는 등록이 필요합니다. 기존에 등록했던 사이트맵이 있는 경우 반드시 기존의 사이트맵을 삭제 한 후 새로운 사이트맵을 등록하기 바랍니다.
'꿍탱이부부의 정보꾸러미 > 컴퓨터와 블로그 파헤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f pdf 변환하는 법과 tif 뷰어 (1) | 2019.08.15 |
---|---|
구글 애드센스 지급통장 sc제일은행으로 계좌등록하는 방법 (0) | 2019.08.03 |
SSD 추천 WD BLUE 250GB와 0XC00000bb 오류 (0) | 2019.07.26 |
블로그차트를 통한 블로그 순위 확인하기 (0) | 2019.07.19 |
다음 사이트노출 안되는 문제 해결한 후기 유입량늘리기 (4) | 2019.07.17 |